안녕하십니까! 건강 정보 공유 채널입니다. 오늘은 자고 일어나면 눈곱 경험담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자고 일어나면 눈꼽 경험담
자고 일어나면 눈꼽 끼는 건 당연합니다. 눈에 쌓인 이물질이나 먼지가 눈물과 합쳐져서 쌓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정상적인 증상이며 그 양이 적당하거나 특이하지 않다면 크게 문제 될 건 없습니다. 물론 좀 지저분해 보이지만 그냥 데면 됩니다. 하지만 오늘 할 이야기는 일어나서 세수를 하거나 그냥 떼면 될 정도가 아닌 이야기입니다. 나를 아는 사람이면 내가 눈이 약하다는 건 알 겁니다. 이게 유전인지 뭔지는 모르겠지만 덕분에 어릴 적부터 소위 눈병이라고 하는 것도 남보다 배는 더 걸렸고 아마 대부분이 걸려보지 못한 병들도 겪었습니다. 그 경험에 병원을 다니면 들었던 것 그리고 글을 쓰기 위해 찾아본 것을 모두 모아서 쓰는 글입니다.
1. 눈곱의 상태에 따른 구분
앞서 이야기한 대로 안과와 꽤 친합니다. 눈이 많이 나쁘기도 하고 병 때문에 방문도 많이 했습니다. 언젠가는 이유 모를 안구 통증으로 응급실에 실려 간 적도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와 관계는 없습니다). 그러면서 자고 일어나면 끼는 눈꼽의 상태만 봐도 거의 어느 정도 어떤 문제인지 감이 오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물론 그 양이 적거나 일반적인 경우에는 그냥 떼거나 씻습니다. 이때 손을 꼭 씻거나 전용 티슈를 이용하는 편입니다. 귀찮기 하지만 더 귀찮은 걸 피하기 위해서 참습니다. 하지만 양이 어마 무시하거나 재질(?)이 이상한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마다 난 병원에 갔고 아래와 같은 진단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2. 실눈곱
말 그래도 하얀 실 같이 생긴 겁니다. (노란색을 띠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마 아는 사람은 다 알 겁니다. 이런 경우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안구 건조증입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이게 난 치유가 됐다 재발했다를 반복하는데 하얀 실눈곱의 경우에는 대부분 안구건조증 진단을 받습니다. 나는 물을 꾸준히 많이 먹는 게 효과가 제일 컸습니다.
4. 재채기를 동반하는 알레르기
노란색을 띠는 경우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일 가능성이 큽니다. 안타깝게도 꽃가루가 의심되는 알레르기가 있는데 봄만 되면 꼭 이런 실눈곱과 함께 찾아왔습니다. 미지근한 물로 잘 씻어주고 며칠 외출을 잘 피하면 금방 낫는 편이긴 합니다.
5. 끈적하고 누런 눈곱
딱 봐도 짜증 나는 눈곱입니다. 어릴 때 자고 일어나면 이런 눈곱을 정말 자주 봤습니다. 소위 눈병이라고 하는 세균성 결막염이나 각막염일 가능성이 큽니다. 개인적으로 나이를 먹고 나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병이기는 합니다. 몇 년 전에 한 번 걸린 적이 있었는데 친구가 자기가 하는 방법을 추천하길래 한 번 해봤는데 나았습니다. 간단합니다. 그냥 미지근한 물에 자주 가볍게 씻고 숟가락을 이용해서 냉찜질을 하니까 낫습니다. 이때 위생을 각별히 신경 써야 하며 눈을 건드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더러운 손이나 숟가락을 이용하면 악화된다고 친구가 몇 번이나 강조를 합니다.
6. 거품 같은 흰 눈곱
개인적으로 가장 거지 같은 눈곱입니다. 앞서 소개한 것들과 달리 눈꺼풀에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속눈썹이나 눈꼬리 쪽에 생기면서 눈 가장자리가 빨갛다면 눈꺼풀염일 수 있습니다. 이게 이물질이나 어떤 원인으로 구멍이 막히고 눈꺼풀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병원을 안 가고 그냥 두면 붓고 아픕니다. 진한 눈 화장, 문신, 속눈썹 시술 등을 통해서도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여사친 중 하나도 이게 걸려서 그 이후로 눈 화장을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안 하는데 그러니까 훨씬 덜하다고 하는데 뭐 난 잘 모르겠습니다.
7. 정리 및 개인적인 결론
위에서 소개한 것들을 열 번 이상씩 걸려본 사람으로서 가장 중요한 건 청결이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손만 깨끗이 씻어도 효과는 있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평소보다 몇 배로 손을 씻고 있는데 봄이 지나가고 있는데도 한 번도 자고 일어나면 이상한 눈꼽이 낀 적이 없습니다. 하는 거라곤 물 많이 마시고 손 자주 씻는 것 밖에 없는데 말입니다. 그래도 이미 증상이 나타났다면 병원을 가는 게 무조건 좋습니다. 그게 가장 빠르고 안전하고 뒤탈이 없는 점 꼭 기억합시다.
'건강이슈전문채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정보 공유 - 장염의 종류와 전염 (0) | 2020.07.25 |
---|---|
건강 정보 공유 - 생리통이 갑자기 심해지는 이유 그리고 해결법 (0) | 2020.07.24 |
건강 정보 공유 - 오른쪽 편두통이 심할 때 그래서 어쩌라고 (0) | 2020.07.23 |
건강 정보 공유 - 혓바늘 없애는 법 핵심 (0) | 2020.07.23 |
건강 정보 공유 - 입천장 까짐 그리고 부음 (0) | 2020.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