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자동차
세계 각국의 완성차 메이커들과 구글 등 IT 업체에서 2020년 혹은 2030년의 가까운 미래에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에 대한 청사진을 내놓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자율주행 관련 기술의 수준이 어디까지인지 알아보고 현재까지 상용화되어 적용된 자율주행 관련 기술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최근 모 드라마의 키스신으로 유명해진 차선 유지 보조 시스 템(LKAS : Lane Keeping Assistant System)은 주행 시 의도하지 않은 차선 변경이 이루어질 때 경고 및 보정을 해주는 기능이다. 경고음이나 벨트 텐션 조절 등 운전자에게 차선 이탈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경고 후에도 반응이 없을 경우, 조향장치나 제동 장치의 직접적인 조작을 통하여 원래 차선으로 복귀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적응식 정속 주행 시스템
우리에게 ASCC(advanced smart cruise control)로 흔히 알려진 시스템과 유사하다. ASCC에서는 운전자가 선행 차량의 속도와 관계없이 일정 거리 이하가 될 경우 브레이크가 작동하고앞차가 출발하면 정해진 속도까지 가속한다. 적응식 정속주행시스템은 한발 더 나아가 선행하는 차량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테슬라 모델-X 등에 적용되어 판매되고 있다.
자동주차 시스템
자동 주차 시스템
2003년 도요타가 프리우스를 통해 가장 먼저 평행 주차 보조 시스템을 선보였고, 2010년 최초로 직각 주차 보조 시스템이 탑재된 기아자동차의 스포티지 R이 등장했다. BMW의 i3는 기존과 달리 스티어링 휠뿐 아니라 브레이크도 자동으로 제어하기 시작했다. 스마트워치나 스마트폰 등을 활용하여 차량이 자동으로 주차공간을 찾아 주차하는 기능도 개발되어 각종 전시회에서 시연된 바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법규상 운전자가 직접 탑승하여 조작 가능한 상태에서만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자동 주차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만 자동 주차 기능이 작동한다.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스바겐 5세대 - 7 속 DCT 로 연비를 29% 향상 (0) | 2020.09.13 |
---|---|
해외 OEM 자동차 - 커넥티드 카 통신 산업과 자동차 산업의 협력 (0) | 2020.09.07 |
와이어링 하네스 - 단자와 도금 (0) | 2020.09.06 |
자동차 이야기 - 헤드램프의 기술 (0) | 2020.09.06 |
자율주행자동차 - 트롤리 딜레마 (0) | 2020.09.05 |